"품종"이라는건 사실 없다고 한다.
인간이 만들어낸 구분일 뿐이라고 한다.
내가 하려던 일은, 사람이 자연을 어떤 식으로 구분하고 있는지를 좀 더 엄밀히 살펴보고자 하는 것에 불과할지도 모르고
사실 자연은 모두 회색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렇지만 더욱 엄밀한 사실은, 사실 이건 새벽에 일하다가 잠깐 딴짓하다가 쓰는 똥글이라는 것이다.
#이렇게라도즐거워야지

머신러닝은 confirmative한 분석을 하기 어려운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게 길을 열어준 선물이 아닐까 한다.
물론 그래도 제약이 있기 마련인데, 그걸 고려하지 않고 막 갖다 쓰는 모습은 곤란하지만 말이다.




2차대전 중 미 해군에서 항공기의 생존성을 높이기 위해 장갑을 추가할 부위를 정하려는 목적에서 작전 중 피격된 항공기의 피탄분포를 조사했었음

그런데 연구를 이끈 통계학자 아브라함 발드는 피탄이 집중된 부위가 아니라 피탄이 거의 없는 부위에 장갑을 추가해야 한다는 결론을 내림

그 이유는 근본적으로 피탄분포를 조사한 모집단이 피탄되고도 살아남아 귀환한 기체를 대상으로 했기 때문
다시 말해 피탄이 집중된 부위는 곧 그쪽은 피탄되어도 무사히 귀환할 수 있는 부위라는 의미

이 사례는 통계학에서 편향된 모집단을 토대로 확률을 계산하는 방법론을 제시한것으로 유명하다나 뭐라나

https://en.wikipedia.org/wiki/Survivorship_bias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