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진짜 조건부 확률 기호처럼 출력해주자."고 했던 기능을 완성하였다. (이미지 참고)
이 쯤 되니까 진짜 멋지다.

2. "Topology에 따른 data를 생성하여 줄 때, 확률값을 원하는 대로 줄 수 있게끔 바꿔주자"고 했던 기능도 완성되었다.

3. 유명한 Real Data 모형을 dataset으로 제공하지 말고, 모형에 기반하여 생성하여주도록 하자.

이걸 완성한다면, 사용자가 sample size를 원하는대로 조절하여 해당 모형에 대한 데이터셋을 생성할 수 있다는 의미가 된다. 정말 멋진 기능이다.
이것까지 제대로 동작한다면, 내가 지금까지 작성해온 코드가 문제 없다는 뜻도 된다.
여기까지 완성되면, 더 이상 기능을 추가하지 않기로 하자. 이게 완성되면 정말로 다큐먼트를 작성하고 R패키지화 하여 서브밋할 준비를 할 것이다.

4. 코드가 서로 얼기설기, 서로 멋지게 도움을 주고받는 관계가 되어있다.
역시 멋지다.

5. 그런데 4. 때문인지, 속도가 조금 느려진 듯도 하다.
일단 서브밋을 한 다음에, 나중에 인터페이싱도 고려해보기로 하자.


6. 아. 다큐먼트 만들 때 demonstration도 넣어주자. asia example을 이용하는게 좋겠다. base model, arc를 추가/삭제할 때, cardinality를 증가시켰을 때, 세 가지 버전이 좋겠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