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을 일정한 범위 안에 나누어서, 이를 범주화 한 다음에
이 범주 데이터에 베이지안 네트워크 구조 학습 알고리즘을 적용시켜보는 방법으로
컴퓨터 게임 사용자 패턴을 분석하는 것에 대해 생각해본 적이 있었다.
이 때 "시간"에 대해 고려해볼 수도 있다고 얘기하기도 했었다.
그런데 생각해보니,
게임을 하는 사람은 사실 마음대로 돌아다닐 수 있기 때문에,
그의 행동 경로를 시각화한 결과가, 베이지안 네트워크가 되지 않을 수도 있다. 한 걸음을 떼었다가 다시 돌아오기만 해도 이미 그건 베이지안 네트워크가 아니다.
그래서 데이터를 가공할 때는, 공간 자체에 방향성이 있다고 여기고, 이 방향을 따라가도록 가공해주어야 하겠다.
경사가 제멋대로 변하는 한 언덕으로부터, 사용자가 스키를 타고 내려오는 모습에 비유하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건 좀 멋있다
'다이어리 > 다이어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을 안해본 사람은 왼쪽처럼 생각하기 쉽지만 실제로 무언가 일을 해보면 사실은 오른쪽처럼 이루어 집니다. (0) | 2015.01.27 |
---|---|
나만의 Wiki를 만들었다. (0) | 2015.01.25 |
local optimization이 이래서 최근 핫 했던 거구나! 하둡이 뜨니까! (내용 없음) (0) | 2015.01.25 |
"방향성이 있는 행동 경로를 베이지안 네트워크로 예측"하는 것은, 맵리듀스 설정이 용이한 것 같다. (0) | 2015.01.25 |
Hadoop (0) | 2015.01.25 |
내가 포기하지 않는 이상, 나는 계속 공부하는 사람이다. (0) | 2015.01.24 |
얼마전에 외부에서 했던 발표가 통계 상담으로도 이어질 수 있다는 경험을 하고 있다. (0) | 2015.01.24 |
컴퓨터가 0과 1밖에 모르니 당연하다. (0) | 2015.01.24 |
나는 학교의 교육 시스템을 비난한 적이 없다. (0) | 2015.01.24 |
걍 안해주는게... (0) | 2015.0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