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hochul.net/blog/twitterrwordcloud/
p.s. 그가 말한 소셜 네트워크 분석 중 하나인 트위터 분석 방법 중 하나는 이거일 것이다.
(물론 응용해서 다른 분석도 할 수 있다.)
1. 아마 그냥 실행해보면 안될 것이다. 트위터는 로그를 긁기 위해서는 인증 절차를 거쳐야 하는데, 아마 이 코드는 너무 오래 되어서 인증코드가 만료되었을 것이다. (oauth 관련 에러 메시지가 발생할 것이다.)
그럼 나는 그 인증 방법을 차분하게 알려줘야하겠지.
2. 다른 분석에 응용하고자 한다면 또 알려줘야겠지.
하지만 난 아이디어 자판기는 아니니까.
3. 트위터 뿐만 아니라 페이스북, 구글+도 있다.
이들도 각자 다른 인증 방법이 있고, 환경설정 방식도 다르고, 사용해야하는 tool이 다르기도 하다.
이걸 또 내가 다 알려줘야하겠지...
4. 트위터만 해도 한 계정에 대한 모든 로그를 읽는 것은 금지되어있다. 아마 몇년 몇월까지만 되었나? 아니면 1만개 트윗까지만이었나? 자세히는 아니지만 하여튼 전부는 못읽는다. 트위터 서버 과부하를 방지하기 위한 트위터 API 정책이다.
물론 이걸 해결하는 방법이 있지만 지극히 물리적인 코딩을 해야한다.
그래서 이 정책을 이해하지 못한다면 내게 징징거리겠지...
5. 난 솔직히 소셜 네트워크 분석의 가치를 잘 모르겠다. 유행도 한참 전에 지났고, 그 결과로 얼마나 대단한 것을 알 수 있는지 의문이다.
그래서 내게 재미있지도 않은 부탁이다.
그래서 안하기로 했다.
이 정도 이유면 충분하겠지.
'다이어리 > 다이어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그래프에서 node 개수가 정말 많을 때 무지개 색상이 유용하게 쓰인다. (0) | 2014.12.19 |
---|---|
내가 조금 더 노력할테니, 멀어지지 말아요. (내용 없음) (0) | 2014.12.18 |
어렸을 때, 고등학교 때 같이 컴퓨터 게임을 개발하며 놀았던 친구들과 했던 (농담을 겸한) 명언이 있었다. (0) | 2014.12.18 |
그럴 수 있는거다. (0) | 2014.12.17 |
안되려나보다. (0) | 2014.12.17 |
굳이 이런 일에 대해서는, 이타심을 부릴 필요가 없는 것이다. (0) | 2014.12.17 |
BN_Data_Generator 패키지에 남아있던, 가장 큰 난관이었던, 대망의 Cardinality 문제까지 개선 완료하였다. (0) | 2014.12.17 |
그렇게 많은 말을 듣고, 많은 것을 보고 그랬는데도 흔들리지 않는 것을 보면 (0) | 2014.12.16 |
무섭다는 것은 (0) | 2014.12.15 |
나는 마음의 준비가 되었다. (내용 없음) (0) | 2014.1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