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머신러너들이 많이 사용하는 개념이 "거리" 개념인데
내가 얼마전에, "두 점 사이의 거리가 가깝다고 해서 그 두 점이 늘 비슷하리라는 보장은 없으리라는 생각이 들었다"며, "그냥 우주 안의 수많은 변수중에 '거리' 하나가 선택되었을 뿐일지도 모른다."는 똥글을 쓴 적이 있었다.

기하학에서 두 다양체의 같고 다름을 정의하는 기준에 따라 몇 가지 분야로 세분되는데,
이 "거리"를 기준으로 두고 보자면, "위상수학"에서 다양체A를 연속적으로 변형시켜서 다양체B를 만들 수 있으면, A와 B를 동일한 다양체로 간주하기 때문에, 두 점 사이의 거리는 별로 중요한 양이 아니게 된다. 다양체를 연속적으로 꾹꾹 누르거나 잡아당기거나 하면 거리는 얼마든지 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반면 어떤 분야에서는 (분야 이름이 있을건데, 잊어버렸다.) 다양체의 구체적인 형태와 두 점 사이의 거리를 중요하게 취급하면서, 다양체의 보조적인 구조에 관심을 갖기도 한다.

나는 이들의 마음 속으로 깊이 들어갈 능력은 안되니까, 그냥 이들이 하는 걸 살펴보고 갖다 쓸 수밖에 없다. 그냥 위상수학 방법론들을 응용해서 구제역의 이동 경로를 예측해서 표창도 받고 했던, 모 회사의 상무님이 다시 한 번 존경스러워지는 부분이다.




덧붙이자면, 대수기하학에서는 특이점, 즉 singularity를 연구하는 분야인데, 대부분의 경우에 방정식의 해들은 다양체와 비슷하지만, "원뿔"같은 경우는 "특이점이 있는 다양체"라고 부를 수 있는데, 원뿔의 꼭지점이 바로 이 "특이점"에 해당한다.

또 덧붙이면, 옛날에 아폴로니우스라는, 유클리드와 비슷한 시기에 살았던 사람이 이 원뿔을 변태적으로 좋아하는, 일명 "원뿔 성애자"였고, 원뿔을 이리 자르고 저리 자르고 하면서, 원뿔 안에 숨겨진
다양한 곡선들을 fomulate했던 적이 있고,
그 보다 전에 또 다른 어떤 학자는, 어떠한 입체도형이 있을 때, 그 도형은 무한한 개수로 자를 수 있다고 생각하면서, 그 입체도형의 부피를 구하기 위해 "적분"이라는 개념을 고안하게 되었다. (미분이 나중에 뉴턴이 개발한거에 비하면, 적분은 고대에 개발된거니, 의외로 적분이 미분보다 훨씬 전에 개발된 셈이다.) 이 학자도 원뿔에 대해 이야기를 한 적이 있는데, 원뿔이란게 크기가 다른 원기둥이 무수히 많이 들어있는 거라고 이야기를 했었다.

그렇기 때문에 꼬깔콘이 맛있는거다. 원기둥 과자 하나 먹는 것보다는 무한개 먹는게 더 맛있으니까 말이다. (물론 이거야말로 진짜 똥글이다. 똥글에 진지하지 말자.)




이 미지 데이터를 위한 딥러닝에 있어서도, 해당 이미지를 역투사한 개체, 가령 고양이가 있다고 하면, 이 고양이가 잘게 잘려있는거니 이걸 갖다 붙인다는 개념이 들어가있는 것 같은데, 여기에 신호처리 개념이 들어가면서 어떤 부분은 왜곡되기도, 어떤 부분은 정확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기도 한 것 같다.




검색해보니, 적분을 고안한 학자의 이름은 에우독소스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이어리 > 다이어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렸을 때는 어린 사촌동생들과 놀아주는게 내 몫이곤 했는데  (0) 2016.09.18
잠깐 꿈을 꿨는데, 꿈 속에서 베른슈테인 할아버지가 나왔다. (요즘 역사적인 학자들에 대한 똥글을 많이 썼더니 이젠 꿈도 이런걸 꾼다...)  (0) 2016.09.14
위키피디아에 나오는 르장드르의 초상화가 꽤 강렬하다. 꿈속에서 나올 것 같다.  (0) 2016.09.14
드무아브르에 대한 내가 알고 있는 썰을 풀고 싶은데  (0) 2016.09.14
MNIST나 ImageNet 데이터를 적합한 결과는 객관적이라고 말하는 사람들은, 자기가 한 말이 얼마나 엉터리인지 한 번이라도 생각해보긴 한걸까?  (0) 2016.09.14
디리클레는 가우스의 정수론을 아주 쉽게 설명하기도 하는 등, 강의를 정말 잘 하기로 소문난 사람이었다고 한다. 이래나 저래나 말을 잘하면 이득이 많다.  (0) 2016.09.14
수식은 어려운 사실을 모두가 쉽게 이해할 수 있게 해준다. 반면 말은, 모두가 아는 사실을 쉽게 표현하기 어려워, 잘 못뱉으면 아무도 이해할 수 없게 만든다.  (0) 2016.09.14
내 자리 창가 앞 소나무 위에 맨날 까치가 와서 깍깍거리고 운다. (가끔 까마귀가 오기도 한다.)  (0) 2016.09.14
어떤 문제에 대한 "확실하지는 않은 다양한 풀이 방법"이 있을 때 가장 좋은 방법은 확실한 풀이 방법을 찾아내는 것이지만, 사실 그게 많은 경우에는 힘들고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그냥 ..  (0) 2016.09.14
이미지 데이터 처리를 위해 필요한 샘플 사이즈를 구하는 방법이 생각났다.  (0) 2016.09.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