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가 열심히 일을 하는 틈을 타 라이프니츠의 전기를 읽고 있는데
"그는 과학적인 인식의 일반적 방법을 말과 기호를 사용하는 계산으로 바꾸려 했는데, 이것이 가능하다면 추론을 위한 논리적이고 수학적이며 보편적인 도구라고 생각할 수 있다.
이것이 라이프니츠의 꿈으로, 오늘날 기호논리학의 문을 연다.
그러나 금세기에 들어, 수학에서는 라이프니츠의 꿈을 실현할 수 없다는 사실이 밝혀진다."
라고 쓰여있다.
마지막 문장의 근거가 무엇일까?
'다이어리 > 다이어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초에 entropy를 계산할 때 median을 이용했더라면 어땠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0) | 2016.10.26 |
---|---|
내 첫 딥러닝 관련 논문이 뭘로 어떻게 흐름을 잡아야 할지 떠오른 것 같다. (0) | 2016.10.26 |
나 혼자 어정쩡한 분석 하느니 그게 낫겠다. (0) | 2016.10.26 |
그래도 어쨌든 숙제로나마 분석해볼 기회가 온 셈이다. (0) | 2016.10.26 |
책의 추천사를 보고 진심으로 감동받은건 오랫만이다. (0) | 2016.10.26 |
다행히 지금 교수님은 착하신 분이었다. (0) | 2016.10.26 |
수업시간에 배운 것 중에, 잘못된 내용임에도 교수님이 너무 당당하게 가르쳐주셔서 얼떨결에 웃었는데 (0) | 2016.10.26 |
모수학자의 3살짜리 아들 이야기. (0) | 2016.10.26 |
그림책을 내자는 연락이 왔다. (0) | 2016.10.26 |
그래도, 그 과정이 사기를 치는 과정이어선 안된다. (0) | 2016.10.26 |